🥞 BE
home

스프링 빈과 의존관계

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2가지 방법

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
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하기

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

스프링이 올라올 때, 컴포넌트 관련 어노테이션이 있으면 스프링 객체를 하나씩 생성해서 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다. @Autowired는 MVC 서로를 연결해준다.
@Component 애노테이션이 있으면 스프링 빈으로 자동 등록된다.
@Controller 컨트롤러가 스프링 빈으로 자동 등록된 이유도 컴포넌트 스캔 때문이다.
@Component를 포함하는 다음 애노테이션도 스프링 빈으로 자동 등록된다.
@Controller
@Service
@Repository
참고 : 스프링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 빈을 등록할 때, 기본으로 싱글톤으로 등록한다(유일하게 하나만 등록해서 공유한다.) 따라서 같은 스프링 빈이면 모두 같은 인스턴스다. 설정으로 싱글톤이 아니게 설정할 수 있지만,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싱글톤을 사용한다.

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하기

@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제거하고 진행.
package com.example.demo; import com.example.demo.repository.MemberRepository; import com.example.demo.repository.MemoryMemberRepository; import com.example.demo.service.MemberService; import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Bean; import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Configuration; @Configuration public class SpringConfig { @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() { return new MemberService(memberRepository()); } @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() {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(); } }
Java
복사
향후 메모리 레포지토리를 다른 레포지토리로 변경할 예정이므로, 컴포넌트 스캔 방식 대신에 자바 코드로 스프링 빈을 설정하겠다.
참고 : DI에는 필드 주입, setter 주입, 생성자 주입 이렇게 3가지 방법이 있다. 의존 관계가 실행중에 동적으로 변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생성자 주입을 권장한다.
참고 : 실무에서는 주로 정형화된 컨트롤러, 서비스, 레포지토리 같은 코드는 컴포넌트 스캔을 사용한다. 그리고 정형화되지 않거나, 상황에 따라 구현 클래스를 변경해야 하면 설정을 통해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.
주의 : @Autowired를 통한 DI는 스프링이 관리하는 객체(@Controller, @Service 등을 명시해 놓은)에서만 동작한다.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지 않고 내가 직접 생성한 객체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.